=> 적정 최초 매수가
총 100원이 있다면 50원은 원화, 50원은 달러로 나눠 시작해보자.
환차익에 대한 과세는 없으나 환전시 수수료가 발생하니 환전 우대 수수료를 확인해볼것.
미국 배당소득세는 15%로 징수 후 금액이 입금됨.
양도소득세는 기본공제 250이니 일단 벌고 신경써보자. (250이상부터는 세율 22% 적용)
원화 금리(파킹통장)보다 달러 금리가 크면,
달러로 손실을 볼 경우 달러 정기예금 가입해서 넣어두면 금리가 붙기 때문에 기다리는동안 손실 복구 가능.
제로금리인 현재에는 미국 월 배당 ETF를 볼 필요가 있다.
상장일 오래됐고 배당률, 자산규모는 크고, 보수는 작은 순서대로 보자.
1위인 DIA 는 코로나로 주가 낙폭이 컸지만 제일 크게 회복했다.
기술, 산업, 헬스케어, 마이크로소프트를 포함하여 투자하고 있음.
회복탄력성이 2위(6%)의 4배가 넘는 27%지만 시장의 기대가 이미 선반영됐다고도 볼 수 있어 주가 성장성에 있어서는 욕심 버리는게 멘탈에 좋을듯.
배당주보다 우량 성장주에 넣어서 성장주의 수익을 내는게 더 좋다는 의견도 있지만 성장주의 수익성 또한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얼마나 버틸 수 있냐가 관건인듯 하다.
따박따박 배당 들어오는게 좋으면 배당주 비중을 키우고 성장성 수익에 자신 있다면 그쪽 비중을 키워야지.
일단 아까 자동투자 걸어놓은 S&P 3개월 끝나면 어디로 들어갈지 생각 좀 해봐야겠다.
(애플 사야하는데 맘이 안가네.. )
'난이도 올라가는 22년 증시, 이 특징 가진 주식을 담아야 하는 이유' 요약 (3) | 2021.11.11 |
---|---|
월마트 매도 시점 고민하기 (0) | 2021.11.05 |
실적발표가 좋아도 하락하는 미국 주가 (0) | 2021.11.01 |
미국 주식 포폴 공개 + 배당주 기록 사이트 (0) | 2021.10.15 |
미국 주식 연말 대비 지켜볼 포인트 (0) | 2021.10.1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