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중국의 요소수부터 미국의 원자재 ETF까지

미국 주식 $$/ETF, 국제 이야기

by 김이김 2021. 12. 27. 01:08

본문

반응형

 

 

  얼마 전 온 뉴스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던 요소수 대란 기억하시나요? 해결방안을 모색해나가는 중이지만 더 큰 문제에 직면했다고 합니다. 바로 중국의 태세 변화인데요. 요소수 공급 차질로 입장이 바뀌는 것을 보며 그들의 '차이나 파워'를 확인했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에 가격/물량 직격탄을 던지고 있습니다. 

 

 

부르는 게 값, 원자재 광물의 갑

 

  스마트폰,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중요 원재료는 리튬, 코발트, 니켈 등입니다. 이러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 중국 업체들이 지난달부터 잇달아 가격을 인상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이 원통형 배터리(규격 21700) 가격을 10% 인상, 삼성 SDI도 지난달 원통형 배터리 가격을 8% 올렸다. 국내에서 두 자릿수의 큰 폭 인상은 처음인데요. 업계 관계자는 “핵심 원재료인 리튬, 코발트, 니켈 화합물 가격을 중국 가공업체들이 대폭 올린 여파”라고 밝혔습니다.


  리튬은 지난 23일 ㎏당 230.5위안(약 4만2900원)으로, 작년 말(44위안) 대비 다섯 배 이상으로 급등했다. 최근 한 달 새 24.3% 오르며 연일 역대 최고치를 경신 중입니다. 코발트는 23일 t당 7만205달러로, 3년 만에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니켈 가격도 2014년 5월 이후 7년여 만에 지난달 t당 2만 달러 선을 넘어섰습니다.

 

 

 

막 나가는 차이나파워

 

  전세계 60%의 리튬은 남미 칠레, 볼리비아, 아르헨티나에 매장되어있는데요. 중국 광물 업계들은 이 물량들을 매입한 후 1차 가공을 하여 리튬 화합물을 생산합니다. 정작 중국에는 리튬 매장량이 5~6%밖에 없지만 그들의 리튬 가공 화합물은 전 세계 1위로 리튬 공급량과 가격에 지대한 영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리튬 뿐만 아니라 니켈, 코발트의 가격도 치솟고 있습니다. 간단히 생각해보면 이 원재료가 필수한 수요(전기차)는 계속 증가할 것이고, 시장을 장악한 중국 입장에서는 가격을 올리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 경제 시장과도 연결되는데요. 올해 뜨거웠던 공업용 금속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의 인프라 법안

 

  미 대통령의 경기 정상화 요구는 시장에 상당한 낙관론을 불러일으키며 세계 경제 회복과 산업 활동을 촉진했습니다. 그의 인프라 법안을 위해서는 산업용 금속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구리 가격은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관련하여 공업용 금속 원자재들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 리튬: 전기 자동차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사용, 올해 이미 240% 상승.
  • 구리: 국제 구리 연구 그룹(ICSG)에 따르면 공급이 수요를 328,000톤 초과할 것으로 예상
  • 니켈: 전기 자동차 배터리, 배터리 저장, 지열 에너지 및 수소 산업에 사용
  • 알루미늄: 중국 에너지 사용 제한으로 생산량 감소 -> 가격 상승에도 불구 미국 구매 전년 대비 4.5% 증가
  • 주석: 인도네시아 2024년부터 솔더링 금속 수출 중단 계획, 청정 에너지 증가의 수혜자

  평소에는 잘 몰랐던 원자재들인데 이렇게 연결하고 나니 한결 이해가 편해집니다. 얼마 전 현대차는 내연기관 엔진개발 사업부를 정리하고 전기차 사업 개발에 대한 포부를 밝혔는데요. 다른 광물들은 국제 상황에 따른 변동성이 영향을 끼치더라도 지금 당장 진행되고 있는 전기차 산업의 리튬과 니켈은 꼭 챙겨가야겠어요! 

  

  미국의 The Global X Lithium & Battery Tech ETF (LIT) 는 금속 채굴 및 공정에서 배터리 생산에 이르는 전체 리튬 시장에 투자하는 리튬 상장지수펀드로 올해 S&P500지수의 수익률을 앞지르며 2022도 순항할 것으로 예측되네요.

 

관련 정보 GO ▶ 2021.12.26 - [미국 주식 $$, 재테크/ETF 및 미국시장] - 소형 ETF 30% 이상 급등, S&P 500지수 능가! 2022년은?

 

소형 ETF 30% 이상 급등, S&P 500지수 능가! 2022년은?

  메리 크리스마스!★ 잘 보내셨나요? ㅎㅎ 시장이 닫아도, 큰 이벤트가 없어도 월스트리스의 1분 1초는 열심히 움직이는데요ㅎㅎ 슬슬 오미크론 이슈는 소화해내는 양상이지만 여전히 인플레

kimekim.tistory.com

 

 

  그런데 또 궁금해지네요. 전기차 대장주인 테슬라는 리튬과 니켈을 어떻게 공급받을까요?

 

  - 중국의 간펑(Ganfeng)사와 3년 리튬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뉴칼레도니아 프로니(Prony Resources)와 약 42,000톤의 니켈을 다년 계약으로 구매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혀 자체 생산량을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이 남미의 광물을 빨리 매입한 것처럼 테슬라도 배터리 관련하여 이미 계약 땅땅 맺어 놓았다니 공급량 압박에 대한 위험은 덜하겠네요!ㅎㅎ 

 

테슬라 전망 GO ▶ 2021.12.22 - [미국 주식 $$, 재테크/ㄴ 2022 개별 종목 전망] - S&P 500 미국 주식 2022 시황 예측 - 테슬라(TSLA)

 

S&P 500 미국 주식 2022 시황 예측 - 테슬라(TSLA)

모두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심적으로 제일 부담이 컸던..) 테슬라가 왔습니다! 혹시 테슬라를 아직 못들어보셨나요? 들어본 적은 있는데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리는 골칫덩이 대표만

kimekim.tistory.com

 

여러분들의 하트와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궁금한 종목/분야 남겨주세요!^^

 

※참고

https://finance.yahoo.com/news/industrial-metal-etfs-win-2021-180006513.html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122647621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