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시장의 트렌드가 달라지는데요. 작년에는 기업의 스토리와 잠재력이 얼마나 대단한지 제시만 해도 분위기가 좋았지만 올해는 확실히 숫자를 보여주고 수익성 있게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생각해보면 합당한 흐름인데요. 작년은 2020년 3월의 충격에서 회복하는 것이 급선무였지만 올해는 그 회복 수치가 어느 정도였는지 정확한 성적표를 보여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여러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있었습니다.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2022년 1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크게 추월했습니다. 이유로는 스트리밍 서비스인 디즈니 플러스의 성장세가 좋았고, 테마파크 디즈니랜드 방문객의 회복으로 어닝(실적)발표 이후 주가가 최대 9% 상승했습니다. 오랜만에 좋은 소식이라 기쁘네요!
이전 글 ▶ 2022.01.02 - [미국 주식 $$/-> 2022 개별 종목 전망] - 19위 디즈니(DIS) S&P500지수 시총 순 최신 시황
19위 디즈니(DIS) S&P500지수 시총 순 최신 시황
겨울이면 울려 퍼지는 그 노래 Let it go~ ♬ 디즈니가 왔습니다! 2021년 디즈니 주식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새로운 변종과 디즈니 플러스(스트리밍 서비스) 가입자 성장 둔화로 인해 주가가 크게
kimekim.tistory.com
장 마감 후 예측을 능가하는 분기별 수익을 공개했으며 오미크론 급증으로 인한 역풍이 완화되었음을 나타냈습니다. 차량 호출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팬데믹 이전 수준에 도달했고 음식 배달 사업이 처음으로 흑자로 전환했는데요. 다라 코스로샤히 (Dara Khosrowshahi) 대표는 오미크론 변종이 12월 말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었지만 수익은 이미 회복되기 시작했으며 가장 최근 주에 총예약이 25% 증가했다고 말했습니다. 우버는 중국 차량 서비스 디디(Didi)와 주식에 대한 지분으로 24억 2000만 달러의 순손실을 보고한 지 1분기 만에 동남아시아 그랩(Grab)과 자율주행 회사인 오로라 이노베이션(Aurora Innovation Inc)에 대한 지분을 재평가하면서 8억 9200만 달러의 순이익을 올렸습니다.
패스트 푸드 레스토랑 체인 기업인 치폴레는 식품 가격 인플레이션과 인건비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지난 분기 실적을 개선하고 마진이 확대된 후 주가가 급등하면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습니다. 4분기 매출의 약 42%를 차지하는 디지털 주문이 코로나 시대 적응 추세를 계속 이어가며 올해 북미에서 상위 7,000개 레스토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안 간 지 오래됐는데 조만간 한번 가야겠네요 :)
1월 연준의 긴축 발표 이후 시장은 계속되는 상승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최신 업데이트에서 S&P 500 EPS(주당 순이익)가 최근 분기 동안 컨센서스 기대치를 지금까지 6% 초과했으며 전년 대비 20%를 훨씬 넘는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시장이 긴장감을 가지고 기다리고 있는 내일은 39년 만에 높은 인플레이션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소비자 물가 지수(CPI)가 발표됩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공급망 부족과 유통 물류 혼란으로 인해 더욱 치솟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블룸버그 컨센서스 데이터에 따르면 노동통계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월 연간 7.2%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1982년 이후 가장 빠른 상승이며 12월에 본 전년 대비 7.0% 증가한 것보다 가속화된 것입니다. 그러나 월간 기준으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021년 말의 월간 0.6% 상승에 비해 0.4% 상승하여 약간 둔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덧붙여 눈여겨봐야 할 것은 벤치마크 10년물 수익률인데요. 지난 수요일에는 2019년 11월 이후 최고 수준에서 1.96%까지 상승한 후 1.92%로 완화되었습니다. 2%를 넘게 된다면 시장의 광범위한 불안을 유발할 것입니다. 중요 요소인 노동, 식품, 에너지에 대한 방향성을 봐야 하는데요. 에너지 가격은 전체 소비자 물가 지수에 핵심적이며 11월에 비해 가격이 약간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12월에 전년 대비 29% 이상 상승했습니다. 1월 천연가스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원유 가격은 2014년 이후 처음으로 배럴당 90달러를 돌파해 에너지 지수가 1월 CPI에 추가로 기여했음을 시사합니다.
관련 글 보기 ▶ 2022.02.05 - [미국 주식 $$/ETF, 경제 트렌드] - 국제유가 WTI도 90달러 돌파, 어디까지 가나?
국제유가 WTI도 90달러 돌파, 어디까지 가나?
주식 시장에서 대형주들이 20%씩 오르락내리락하는 동안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올해도 한 달여 만에 20% 가까이 올라 7년만에 90달러를 돌파했습니다. 이번 급등세는 러시아-우크라이나를 둘
kimekim.tistory.com
내일 발표되는 결과가 시장이 예상하는 추정치와 일치한다면 현재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줄 것이며 3월 연준의 FOMC 회의에서 지속적으로 금리를 인상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금리인상이 횟수에 대한 로드맵이 현실적으로 다가오는 중이네요. 연준은 3월 15~16일 차기 정책결정회의를 소집할 예정입니다. 또 다른 매수장이 올지 기대되네요!
엔비디아 실적, 데이터 센터 매출 71% 증가 (2) | 2022.02.17 |
---|---|
2월 셋째주 S&P500지수 및 시황 (0) | 2022.02.15 |
팡 FANNG → 만타 MANTA, 골드만삭스 분석 적중! (8) | 2022.02.09 |
애플, 펠로톤에 러브콜 보내나? (6) | 2022.02.08 |
아마존이 말아올린 뉴욕증시 (feat. 리비안 땡큐!) (2) | 2022.02.04 |
댓글 영역